 |
감은사지
감은사지3층석탑
 |
| 11773 | 2009-08-25 00:02 |
문무왕(文武王)이 부왕인 무열왕(武烈王)과 더불어 삼국통일의 주역이었지만 문무왕에게 건국이래 동(東)에서 시시때때로 침입하던 왜구는 항상 걱정이었다. 그리하여 이같은 왜구를 염려한 대왕은 그 대응책의 하나로 예로부터 왜구의...
|
 |
문무대왕릉
문무대왕릉
|
| 11782 | 2009-06-06 23:59 |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문무왕은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
|
 |
이견대
이견대
|
| 7968 | 2009-06-06 23:58 |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수중릉인 대왕암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31대 왕인 신문왕이 681년에 세웠다. 신문왕은 해변가에 감...
|
 |
기림사
기림사
|
| 10823 | 2009-06-07 00:00 |
절로 가는 울창한 숲길, 고색창연한 대적광전 누가 보아도 유서 깊은 절답다. 기림사는 한때 불국사를 말사로 거느렸던 대찰이었다고 한다. 27대 선덕여왕 때인 643년 창건 당시 이름은 임정사 였는데, 원효가 와서 기림사로 ...
|
 |
기림사대적광전
기림사대적광전
|
| 11430 | 2009-06-07 00:00 |
기림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 인도의 스님 광유가 세워 임정사라 불렀고, 그 뒤 원효대사가 새롭게 고쳐 지어 기림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이 절은 천년에 한번 핀다는 한약초 ‘우담바라’가 있었다는 전설이 있기...
|
 |
기림사삼층석탑
기림사삼층석탑
|
| 9213 | 2009-06-07 00:01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05호로지정 선덕여왕에 창건된 기림사 앞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다. 기림사 응진전앞에 있는탑으로 규모가 작아 앙증맞지만 체감률이 고른 통일 신라후기 혹은 교려 초기의 석탑이다....
|
 |
기림사약사전
기림사약사전
|
| 8533 | 2009-06-07 00:02 |
기림사는 함월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에 세웠다. 기림사란 명칭은 부처가 생전에 제자들과 함께 활동하던 인도의 기원정사를 뜻한다. 중심 건물인 대적광전 동쪽에 있는 약사전은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는 ...
|
 |
골굴사
골굴사
|
| 8868 | 2009-06-07 00:03 |
한국에도 돈황석굴이 있다. 바위산에 팬 굴의 모습이 마치 해골 같아 골굴이라 이름지은 골굴사다. 깎아지른 절벽, 산더미 같은 바위에 움푹움푹 패인 십여개의 동굴 (자연적으로 생긴 동굴은 아니고 사람의 손으로 파냈다) 이...
|
 |
골굴암마애여래좌상
골굴암마애여래좌상
|
| 8106 | 2009-06-07 00:04 |
기림사 골짜기에 위치한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불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사되었으나 지금은 바위에 흔적만 ...
|
 |
장항사지
장항사지
|
| 8225 | 2009-06-07 00:05 |
토함산 동남쪽 계곡의 비교적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이다. 절터가 있는 계곡은 대종천의 상류로 감은사터 앞을 지나 동해로 흘러간다. 절을 지은 연대나 절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데, 장항리라는 마을 ...
|
 |
석탈해왕탄강유허
석탈해왕탄강유허
|
| 7443 | 2009-06-07 00:06 |
신라 제4대 탈해왕(재위 AD 57∼80)이 탄생한 곳이다. 신라의 3대 왕성인 박·석·김 가운데 최초의 석씨 왕인 탈해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왜국에서 동북쪽으로 1천여 리 떨어져 있는 다파나국 왕비가 임...
|
 |
나의잊히지못하는바다
고유섭선생대왕암비
|
| 6059 | 2009-07-03 22:25 |
경주에 가거든 문무왕의 위적을 찾으라 구경거리의 경주로 쏘다니지말고 문무왕의 정신을 길러보아라 태종무열왕의 위업과 김유신의 훈공이 크지 아님이 아니나
문무왕의 위대한 정신이야말로 경주의 유적에서 찾아야 할것이니 무엇보...
|
최근등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