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지역

글쓴이
불국사경내 불국사경내 file
id: 경주이야기
18197 2009-06-09 00:41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극락전, 자하...  
다보탑 다보탑 file
id: 경주이야기
15024 2009-06-10 22:43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석가탑 석가탑 file
id: 경주이야기
18863 2009-06-09 00:39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 『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  
청운교.백운교 청운교.백운교 file
id: 경주이야기
16936 2009-06-10 00:07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다리 아래의 일반인의 세계와 다리 위로의 ...  
연화교.칠보교 연화교.칠보교 file
id: 경주이야기
15626 2009-06-09 00:42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연화교와 칠보교는 극락전으로 향하는 안양문과 연결된 다리로, 세속 사람들이 밟는 다리가 아니라, 서방 극락세계의...  
불국사대웅전 불국사대웅전 file
id: 경주이야기
14227 2009-06-10 00:06
백운교와 청운교를 오르면 대웅전이 보인다. 대웅전은 불국사의 중심전각으로 본존불(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이다.  
석굴암 석굴암 file
id: 경주이야기
13540 2009-06-10 22:44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석굴암삼층석탑 석굴암삼층석탑 file
id: 경주이야기
7840 2009-06-10 22:46
석굴암에서 동북쪽으로 약 150m지점 언덕에 서 있는 탑이다. 2층을 이루는 기단(基壇)은 원형과 8각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며 그 위로 4각의 탑신(塔身)을 3층으로 쌓아 올렸다. 기단의 모습은 매우 독특한 예인데...  
경주민속공예촌 경주민속공예촌 file
id: 경주이야기
7527 2009-06-10 23:32
전통의 얼과 멋, 솜씨를 계승하는 장인들의 마을로, 전통기와집과 초가집이 40여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라시대의 공예 기술을 보존하고 개발하기 위해 모인 장인들이 모인 이곳에는 금속,도자, 목공, 보석, 석공, 자수, 토기...  
신라역사과학관 신라역사과학관 file
id: 경주이야기
10394 2009-06-10 23:33
석굴암과 첨성대 등의 신비와 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싶은 이들을 위해 적극 추천하는 역사 교육의 현장이다. 신라인의 위대한 문화 유산과 여기에 깃든 과학 정신을 다각도로 살펴 볼수 있다. 1층 전시실에는 신라왕경도...  
동리목월문학관 동리목월문학관
id: 경주이야기
6619 2009-06-10 23:40
신라 천년고도 경주가 배출한 소설가 김동리(1913~1995)와 시인 박목월(1916~1978)의 생애와 문학을 기려, 그문학 정신을 가까이 느끼게 하는 곳으로, 2006년 3월 개관했다. 동리목월 영상관은 영상실과 창작교실, 자료실 등으로 꾸며...  
영지석불좌상 영지석불좌상 file
id: 경주이야기
11525 2009-06-10 00:24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대좌(臺座)와 몸 뒷부분에 조각된 광배(光背)가 있는 불상으로 광배 일부와 머리 부분은 심하게 닳아서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다. 건장한 신체와 허리, 부피감 있는 무릎 표현...  
경주쾌릉 경주쾌릉 file
id: 경주이야기
10502 2009-06-10 00:22
괘릉은 낮은 구릉의 남쪽 소나무 숲에 있는 것으로 신라 제38대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원성왕의 이름은 경신이며 내물왕의 20대 후손으로 독서삼품과를 새로 설치하고 벽골제를 늘려쌓는 등 많은 업적을 ...  
원원사지삼층석탑 원원사지삼층석탑 file
id: 경주이야기
11401 2009-06-10 23:34
동·서 쌍탑의 경주원원사지삼층석탑은 사적 제46호 경주원원사지 안에 있다. 원원사(遠願寺)는 삼국유사에 의하면 밀교(密敎)를 계승한 안혜(安惠)ㆍ낭융(朗融) 등이 김유신ㆍ김의원ㆍ김술종 등과 뜻을 모아 호국의 사찰로 창건하였다고...  
구정리방형분 구정리방형분 file
id: 경주이야기
6148 2009-06-10 23:35
고구려 고분은 모두 장군총처럼 네모난 방형분이 많지만, 신라의 고분은 대부분 원형분이다. 방형분으로 유일한 신라의 고분이다. 특히 복원때 무덤 안을 들여다보는 재미가 있다. 고분 주위에 십이지상이 조각된 돌레돌이 있어 ...  
마동사지삼층석탑 마동사지삼층석탑 file
id: 경주이야기
7259 2009-06-10 00:21
불국사 서북쪽 언덕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4매, 위층 기단은 8매의 돌로 짜여져 있다. 각 층 모두 모서리에 하나씩, 가운데에 2개씩 기둥 ...  
감산사지 감산사지 file
id: 경주이야기
7464 2009-06-10 23:36
감산사의 옛 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65년 다시 세웠다.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이나, 현재 탑신의 2·3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위·아래층 기단의...  
숭복사지 숭복사지 file
id: 경주이야기
6463 2009-06-10 23:37
숭복사터에 동서로 서 있는 쌍탑으로, 두 탑 모두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어서, 아래·위층 기단에 기둥 모양을 새기고, 특히 위층 기단에는 기둥 조각 사이...  
효소왕릉 효소왕릉 file
id: 경주이야기
8428 2009-06-10 23:39
신라 제32대 효소왕(재위 692∼702) 무덤이다. 신문왕(재위 681∼692)의 아들로서 삼국을 통일한 후 안정과 발전이 있던 시기에 왕위에 올라 서시전과 남시전 등 시장을 열어 물품의 유통을 쉽게 하였다. 높이 4.3m, 지름 10.3m의...  
성덕왕릉 신라성덕왕릉 file
id: 경주이야기
11136 2009-06-10 23:40
경주에서 불국사 방향으로 가는 길의 동남쪽 구릉 소나무숲 속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33대 성덕왕(재위 701∼737)의 무덤이다. 성덕왕은 신문왕의 아들로 본명은 융기이다. 당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으며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  
성덕왕릉귀부 성덕왕릉귀부 file
id: 경주이야기
9717 2009-06-10 23:31
통일신라 성덕왕(재위 702∼737)의 능 앞에 세웠던 비석의 받침이다. 성덕왕은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 형인 효소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비는 원래는 비몸과 그 위에 머릿돌이 있었던 것으...